최신뉴스

[피부과의사회 성명서]문신사 법안, 국민 건강·안전 위협 보건의료 기본 원칙 무너뜨려,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재검토 요청

206 2025.08.21 17:15

첨부파일

짧은주소

본문

[피부과의사회 성명서]문신사 법안, 국민 건강·안전 위협 보건의료 기본 원칙 무너뜨려,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재검토 요청

대한피부과의사회(회장 조항래 이하 의사회)는 8월 21일 성명서를 통해 문신사 법안 통과에 대한 강력한 우려와 항의를 표했다.

의사회는 “대한민국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위원회가 의결한 ‘문신사 법안’은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보건의료의 기본 원칙을 무너뜨리는 중대한 오류”라며 몇 가지 이유를 들었다.

먼저 의사회는 문신이 국민 보건과 사회적 가치에 역행하는 졸속 입법이며 국민 보건은 물론 사회적 가치와 공공질서에도 반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의사회는 “문신은 피부에 상처를 내고 인체에 이물질을 주입하는 침습적 행위로 결코 가볍게 다룰 수 없는 의료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법안은 마치 국가가 문신을 보건·문화적으로 권장하는 행위인 양 합법화 근거를 마련했다. 더욱이 법안은 ‘문신’과 ‘반영구화장’의 개념조차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민 다수가 거부감을 느끼는 혐오적 문신까지 법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고 비판했다.

이어, 의사회는 인체 주입용 염료 관리의 심각한 미비에 대해 우려를 드러냈다. 의사회는 “문신에 사용되는 염료는 의약품 수준으로 철저히 관리돼야 함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이제야 위생용품 정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며 “관리 기준 또한 국내 보건 현실에 맞는 과학적 근거가 아니라 단편적인 해외 규제 기준을 차용한 수준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의사회는 우리 의료법의 기본 원칙인 ‘면허를 가진 자만이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예시로 들며 이번 법안이 의료법 체계의 근간을 훼손하는 예외 규정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의사회는 의료인만 사용할 수 있는 국소마취제 사용을 예외적으로 허용한 것이 법체계 전반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선례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감염·부작용 관리 부재로 인한 국민 보건 위협 또한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의사회는 “문신은혈액매개 감염, 알레르기 반응, 피부질환, 장기적 부작용 등 다양한 위해 가능성을 안고 있으며 비의료인이 이러한 상황을 진단하고 대처할 역량을 갖추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번 법안은 위생관리와 사후관리 책임을 제대로 담보하지 못한 채, 오히려 국민 건강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제도적 허점을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사회는 마지막으로 “이번 법안이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의료체계를 혼란에 빠뜨리며 사회적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을 엄중히 경고한다”며 “국회는 향후 본회의 논의 과정에서 반드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에 두고 이번 법안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984건 6 페이지